|
|
|
|
|
노상, 노반에서 표층, 기층까지의 각 층의 시공에 있어 재료를 다지기하는 정도를 표하는 지수. 현장에서 측정한 밀도와 각 포장용 재료를 규정된 방법으로 다졌을 때의 밀도(노상ㆍ노반의 경우는 최대 건조밀도 기층, 표층의 경우는 기준밀도)에 대한 비를 백분율로 표한다.
|
|
|
|
모델로 하는 포장의 환경조건, 하중조건, 재료특성에서 구조 단면을 상정하고, 「탄성론」등에 의한 해석 프로그램에 의해 포장체의 임의점에서의 각종 응력, 변형 등을 계산하는 이론적 해석법. |
|
|
|
고무ㆍ열가소성 에라스르마 혼입 아스팔트 등의 점탄성물질의 파악력과 점결력을 표시하는 지표. |
|
|
|
포장의 보수공법의 일종. 어느 정도 파손이 진행된 아스팔트 포장이나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위에 보통 3cm 이상의 두께로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는 공법. 2.5cm 이하의 두께로 혼합물을 포설하는 공법은 표면처리(表面處理)라고 하여 덧씌우기와는 구별한다. |
|
|
|
0℃ 이하의 기온과 일수의 적을 년간을 통하여 누계한 값. |
|
|
|
적설한낸지역에서의 포장에 있어 동결을 고려하지 않고 구한 포장 설계두께보다 동결깊이에서 구한 치환깊이 쪽이 큰 경우, 동결방지를 위하여 그들 깊이의 차이만큼 노반 밑의 층에 동상을 잘 일으키지 않는 재료로 설치한 층. |
|
|
|
아스팔트 혼합물의 유동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 호알 트톡킹시험에서 공시체가 1mm변형하는데 필요한 차륜의 통과회수로 표한다. |
|
|
|
절대점도를 그 시료온도에서의 밀도로 나눈 값. 단위는 센티스톡스(cSt, ㎟/sec). 동점도를 측정하는 데는 일반적인 모세관형 점도계를 사용한다. |
|
|
|
아스팔트 포장의 노반에서 표층까지의 전층을 모두 표층, 기층용 가열아스팔트 혼합물로 만든다고 가정한 경우에 필요한 두께. |
|
|
|
포장을 구성하는 어느 층의 두께 1cm가 표층, 기층용 가열아스팔트 혼합물의 몇cm에 상당하는가를 표시하는 값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