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Home > 정보광장 > 포장용어설명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박리방지대책
 
아스팔트 피막이 골재 표면에서 박리할 염려가 있을 때 그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시행하는 대책. 소석회 기타의 박리방지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박리시험
 
아스팔트 피막의 골재에서의 박리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는 시험


  반휨성 포장
 
공극률이 큰 입도매합의 아스팔트 포장을 시공 후 그 공극에 시멘트를 주체로 하는 침투용 시멘트 밀크를 침투시키는 공법. 반휨성 포장은 아스팔트 포장의 휨성과 콘크리트 포장의 강성 및 내구성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배수성 포장
 
아스팔트에 개질아스팔트와 고점도의 개질아스팔트를 사용하여 공극률이 15~25%정도의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을 표층 또는 표층ㆍ기층에 설치, 밑의 층을 불투수층으로 하는 구조로 된 포장으로 강우시에 우수 등을 路측에 혹은 갓길의 배수구조물에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포장이다. 교통량이 적은 노선에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합설계
 
사용 예정의 재료를 사용하여 소정의 품질, 기준치가 얻어지도록 아스팔트량이나 안정재의 양 등을 결정하는 행위.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는 마샬안정도시험, 시멘트안정처리나 석회안정처리의 경우는 일축압축시험,C B R시험으로 배합설계를 한다.


  보 수
 
포장의 공용성능의 保持 또는 약간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구조적 강화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행위와 포장의 구조적 강화를 목적으로 하여 대폭으로 공용성능을 회복하는 행위를 총칭한 것을 말한다. 또, 새로운 기능을 부가시키는 행위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보행자계 도로포장
 
보도, 자전거 보행자 전용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공원 내의 도로 및 광장의 도로 등의 오로지 보행자용으로만 공용되는 도로로 사용되는 포장


  브리스터링(Blistering)
 
아스팔트포장 표면이 시공 중 혹은 공용시(특히 하기)에 원형으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 강상판, 콘크리트 상판 포장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 유분이 온도상승에 의해 기화하여 그때 발생하는 증기압이 원인이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주스아스팔트 혼합물과 같은 매스틱계 혼합물이나 세립도 아스팔트 혼합물 등의 치밀한 혼합물에 많이 발생한다.


  블랙 베이스(black base)
 
아스팔트 포장에서 역청재료의 결합재와 골재로 만든 색깔이 검은 기층. 보통 가열 혼합물로 이루어지나 상온 혼합물이나 침투식 머캐덤 공법이 쓰이는 경우도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기층을 화이트 베이스(white base)라고 한다.


  블리딩(bleeding)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에 있는 잉여 아스팔트가 피막을 형성한 결과 표면으로 떠오르는 현상. 이것이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교통작용에 의한 밀도의 증가와 온도, 습도의 상승, 과다한 택코트와 프라임코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노면의 미끄럼 저항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더운 날씨에 생긴다.


     1  

 

 

   
  ㆍ실적신고 안내
  ㆍ시공능력평가 안내
  ㆍ인정기능사 안내
  ㆍ전문건설업 안내
  ㆍ보증가능금액 확인서
PAVEMENT Info.
▶포장보수공학개론
▶포장공사별정보
인증기능사배출현황
 
  Home 메일 개인정보처리방침